Better Days, Better Life.

무역실무업무

[무역 용어] - 보세창고 vs 일반창고 차이점

데일리미셸 2025. 3. 3. 13:11
반응형

 

 

[무역 용어] - 보세창고 vs 일반창고 차이점

 

 

 

 

 

 

수출입 업무에서 "보세창고"는 업무에서 빠질 수 없는 용어이다.

보세 창고(保稅倉庫, Bonded Warehouse)란, 수입된 물품이 관세를 내기 전에 보관될 수 있는 창고를 의미한다.

즉, 외국에서 들어온 화물이 아직 세관을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기간 동안 보관될 수 있도록 지정된 장소이다. 

일반창고의 차이는 크게 세금, 통관 절차, 그리고 운영 방식에서 나타난다.

 

그럼 보세창고와 일반창고에 대해 알아보자 ^_^

 

 

1. 보세창고 (Bonded Warehouse)

  • 개념: 수입된 물품이 관세를 내지 않고 보관될 수 있는 장소이다.
  • 운영 목적: 물품이 완전히 수입 통관되기 전까지 보관하거나, 수출용으로 보관할 때 사용된다.
  • 세금: 보세창고에 보관된 물품은 관세 및 부가세가 유예되며, 창고에서 출고할 때 세금이 부과된다.
  • 활용 사례: 국제 물류업체, 수출입업체, 면세점, 환적 화물 등
  • 종류:
    • 보세구역: 보세창고, 보세공장, 보세전시장 등으로 구분
    • 보세창고 종류: 보세창고(일반적인 형태), 보세공장(가공 가능), 보세판매장(면세점) 등

**실제 컨테이너 FCL의 경우 Free Time이 있어 배송 기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보세창고에 보관을 많이 하는편이다. 

 

2. 일반창고 (General Warehouse)

  • 개념: 수입 통관이 끝난 완전한 국내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이다.
  • 운영 목적: 국내에서 판매되거나 유통될 물품을 저장한다.
  • 세금: 모든 세금(관세 및 부가세)이 완납된 상태에서만 보관할 수 있다.
  • 활용 사례: 국내 유통업체, 제조업체, 도매업체 등이 주로 있다.

 

3. 보세 창고 vs 일반 창고 주요 차이점 

구분 보세 창고 일반 창고
세금 납부 관세·부가세 유예 세금 완납 후 보관 가능
통관 상태 미통관 (수입 통관 전) 통관 완료 (국내 유통 가능)
주요 용도 국제 물류, 수출입업체 활용 국내 유통, 제조업체 활용
관리 감독 세관에서 관리 창고 운영사 자체 관리

 

**즉, 보세창고는 통관 전 물품을 보관하여 세금 부담을 유예하는 데 유리하고, 일반창고는 국내 유통을 위한 최종 상품 보관용으로 사용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