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FTA 체결 국가 리스트 (59개국, 22건)
안녕하세요! 데일리 미셸입니다 :)
수출입 무역 실무 업무에서 FTA는 매우 중요합니다.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은 국가 간 상품 및 서비스 교역에서 관세 및 무역 장벽을 줄이거나 철폐하는 협정입니다. 우리나라는 세계 여러 나라와 FTA를 체결하여 글로벌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FTA 협정을 많이 맺게 되면 한국 기업과 소비자 모두 다양한 혜택을 누리게 되고 FTA 확대를 통해 경제적 이점을 극대화할 것입니다. 그럼 이번 글에서는 대한민국이 체결한 FTA 협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 대한민국의 FTA 체결 현황
현재 우리나라는 59개국과 22건의 FTA를 체결하여 발효 중입니다.(2024년12월 기준)
1) 아시아
- ASEAN(10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브루나이,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싱가포르
- 인도
- 중국
- 베트남(ASEAN FTA 외 별도 FTA 체결)
2) 미주
- 미국(KORUS FTA)
- 캐나다
- 칠레 (한국이 최초로 체결한 FTA, 2004년 발효)
- 멕시코(태평양동맹 준회원국 협정 체결)
- 페루
- 콜롬비아
3) 유럽
- 유럽연합(EU, 27개국)
- 영국(브렉시트 이후 별도 FTA 체결)
- EFTA(유럽자유무역연합, 4개국: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4) 오세아니아
- 호주
- 뉴질랜드
5) 중동 및 기타 지역
- 터키
- 이스라엘
- 중앙아시아(우즈베키스탄과 협정 체결 진행 중)
FTA 포털
FTA 포털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ww.customs.go.kr
FTA 포털 사이트 가시면 더 빠른 협정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2. 주요 FTA 협정의 특징
1) 한-미 FTA (KOR-US FTA)
- 2012년 발효
- 미국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경쟁력 강화
- 자동차, 농산물,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큰 영향
2) 한-중 FTA
- 2015년 발효
- 한국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무역 확대
- 단계적으로 관세 철폐 확대 진행 중
3) 한-EU FTA
- 2011년 발효
- 한국과 EU 간의 무역 확대 및 투자 활성화
- 자동차, 화장품, 전자제품 등의 관세 혜택
4) CPTPP 가입 추진
-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을 추진 중
- 일본, 캐나다, 멕시코, 호주 등 11개국이 참여하는 경제 블록
3. FTA 체결의 경제적 효과
- 수출 증가: FTA 체결국과의 교역 확대
- 소비자 혜택: 해외 제품의 가격 하락
- 산업 경쟁력 강화: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 확대
- 투자 유치 증가: 외국인 직접 투자(FDI) 활성화
4. 앞으로의 FTA 협정 추가 전망
앞으로 한국은 중남미 및 아프리카 지역과의 FTA 확대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메르코수르(남미공동시장, 브라질·아르헨티나·파라과이·우루과이 등) 및 아프리카 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와 협력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무역실무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록통관 완벽 정리 (미화200불 이하) (23) | 2025.03.13 |
---|---|
FedEX 페덱스 라스트 미닛 (Last Minute Rate) 운임 할인 적용 받는 법 (45) | 2025.03.10 |
[무역 용어] - 신용장 (L/C, Letter of Credit)이란? (46) | 2025.03.08 |
수출입 선적 시 운임과 부대비용 완벽 정리! (BAF, CAF 등 총정리) (59) | 2025.03.07 |
해상 운송 시 "적하 보험" 중요한 이유 (33) | 2025.03.06 |